[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란 자신이 닮고자 하는 이상형이나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유명인이 자살할 경우, 그 대상을 모방해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을 말한다.

동조자살(copycat suicide) 또는 모방자살이라고도 한다. 독일의 문호 괴테가 1774년 출간한 서한체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에서 유래하였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베르테르’가 자살하자 그를 모방한 젊은이들의 자살이 급증하면서 이름 붙여졌다.

이 작품에서 남자 주인공 베르테르는 여자 주인공 로테를 열렬히 사랑하지만, 그녀에게 약혼자가 있다는 것을 알고 실의와 고독감에 빠져 끝내 권총 자살로 삶을 마감한다. 이 소설은 당시 문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면서 유럽 전역에서 베스트셀러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작품이 유명해지면서 시대와의 단절로 고민하는 베르테르의 모습에 공감한 젊은 세대의 자살이 급증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때문에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발간이 중단되는 일까지 생겼다.

베르테르 효과는 이처럼 자신이 모델로 삼거나 존경하던 인물, 또는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유명인이 자살할 경우, 그 사람과 자신을 동일시해서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1974년 미국의 사회학자 필립스(David Phillips)가 이름 붙였다. 그는 20년 동안 자살을 연구하면서 유명인의 자살이 언론에 보도된 뒤, 자살률이 급증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이런 연구 결과를 이끌어냈다.

당시 독일 청년들이 베르테르의 자살을 모방한 것은 지금과는 그 이유가 다르다. 독일 낭만주의는 고전주의에 대한 거부의 몸짓으로 탄생하였다. 이성보다는 그동안 경시되었던 감성이 재발굴되었으며, ‘질풍노도의 시대(Sturm und drang)’라는 표현처럼 경직된 질서에 온몸으로 저항했다. 베르테르가 자살한 것 역시 형식에 치우쳐 있는 사랑이라는 사회제도에 대한 저항이자, 자살은 용서받지 못하는 죄라는 기독교 관념에 대한 반발이었던 것이다.

이에 반해 유명 연예인의 자살을 모방하는 현대의 조류는 이러한 저항의식과는 거리가 먼, 단순한 모방 자살에 불과하다. 1974년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David Philips)는 언론에 보도되는 유명인의 자살 사건 이후 집중적으로 일반인의 자살이 뒤따른다는 패턴을 최초로 발견하고 이에 ‘베르테르 효과’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런데 그가 발견한 것은 고인이 유명인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살을 선택한다는 것이 아니었다. 그보다는 일반인이 언론매체를 통해 자살 기사에 얼마나 노출되느냐에 따라 자살률이 급증한다는 것이었다.

연구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모방 자살은 유명인의 자살 소식이 보도된 후 열흘까지가 가장 빈번하다고 하며, 그 지역의 신문 구독률과 비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자들의 공통적 주장은 자살 사건에 대한 기사 내용이 죽은 이를 감상적으로 미화하거나, 슬픔을 과대 포장하거나,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치부하는 경우 자살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또한 자살 원인에 대한 냉철한 분석 대신 단순하고 정형화된 원인을 실었을 때 더 위험이 크다.

※ 참고자료: 정성훈의 『사람을 움직이는 100가지 심리법칙(2011)』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