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행동을 통해 뇌를 지배하라!

[한국강사신문 오상진 칼럼니스트] 일반적으로 뇌는 말과 행동을 통해 지배를 받는다. 뇌가 명령해서 몸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몸이 움직여야 뇌는 생각을 하고, 활성화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경험에서 얻어진 지식에 의해 사고하게 되는 “경험(Experience) 박스”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서커스단에서 코끼리를 조련시키는 사례를 살펴보자. ‘맹수들도 함부로 접근하지 못하는 포유류 중 가장 큰 코끼리. 그는 작은 말뚝에 묶힌채 허공만을 쳐다보고 있다. 코끼리의 괴력으로 쉽게 뽑힐 듯한 말뚝이지만 빠져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이해가 가지 않는 상황이다. 코끼리는 왜 그러는 걸까?

미국 긍정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의 실험을 통해서 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그는 이 현상을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이라고 표현한다. 또 다른 실험에서 이 현상을 설명하고 있는데 방법은 간단하다. 박스에 전기충격장치를 설치하고 박스안의 개가 탈출을 시도하려고 할 때마다 전기충격을 주기적으로 가했다. 얼마 후 그 박스에 전기충격을 피해서 외부로 나가는 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는 가만히 앉아 있었다. 탈출할 수 없는 박스라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코끼리의 사례도 마찬가지이다. 새끼 때부터 말뚝에 매어져 훈련을 받았던 코끼리는 말뚝을 벗어나려고 시도할 때 마다 조련사에게 체벌을 받았다. 그리고는 더 큰 말뚝에 묶이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반복되면서 성인이 된 코끼리는 ‘이 말뚝은 탈출할 수 없는 것’ 이라는 학습된 무기력을 갖게 된 것이다. 이미 큰 말뚝을 쑥 뽑아 버릴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데도 여전히 말뚝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러한 사례는 광고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스웨덴 스톡홀롬의 한 지하철 역사. 많은 사람들은 늘 그래 왔듯 계단을 옆에 두고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편리함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행동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여러분들에게 “사람들이 에스컬레이터가 아닌 계단을 이용하게 만들어라!”라는 과제가 주어진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물론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에스컬레이터를 고장 내거나 없애는 것이다. 하지만 스스로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선 다른 방법을 써야한다. 이것을 “넛지효과(Nudge Effect) 어떤 결과를 강제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은근하게 유도하는 행위 혹은 스스로 참여하므로 반감을 줄이고 자연스레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 라고 부른다. 폭스바겐은 “넛지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펀(Fun)" 이라는 요소를 사용하였다.

친환경 엔진기술인 “블루모션(Blue Motion)”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인지도를 높이고자 했던 그들은 “피아노 계단(Piano Stair)”이라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 캠페인은 2010년 칸 광고제 사이버 부문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을 정도로 그 파급효과가 컸다. 그런데 의외로 방법은 간단했다. 우리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경험의 패턴을 깨버린 것이다. 사람들이 모두 다 잠든 야심한 밤 그들은 지하철 역사 계단을 피아노 건반으로 만들었다. 밟으면 소리가 나도록 센서를 설치한 것이다. 다음날 아침 에스컬레이터를 타려고 이동하던 사람들이 바로 옆 계단에서 나는 피아노 소리를 듣고 신기한 듯 몰려들었다. 그러고는 계단을 올라가기 시작했다. 어느새 사람들은 피아노를 연주하듯 계단을 오르내리며 그 상황을 즐기고 있었다. 자연스럽게 전보다 계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66%나 늘었고, 건강과 에너지 절약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사람들의 입소문을 통해 이곳은 관광명소가 되었다. 물론 폭스바겐의 광고 효과도 톡톡히 보았다고 한다. 그들은 자신 있게 말한다. 펀(Fun)은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매개체라고. 사람들은 수많은 지식을 경험에서 얻는다. 하지만 그 경험은 사고를 경직되게 만들고 직관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나쁜 습관을 갖게 한다. 늘 익숙하고, 편안하고, 안전한 곳을 찾아 가도록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이곳을 안전지대(Comfort Zone)라고 말한다. 단지 습관에 의해 직관적 사고만을 하게 되는 곳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기 힘든 곳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촉진 시키려면 조금은 낯설고, 불편하고, 다소 위험한 곳을 넘나들 필요가 있다. 창의지대 (Creative Zone)라고 불리는 곳이다. 이곳은 우리에게 익숙한 공간, 시간, 생각을 벗어나도록 도움을 주는 “도전”에 의해 생성된 곳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안전지대가 “경험 박스”를 만드는 것이다.

※ 참고자료 : 오상진의 『아웃 오브 박스 : 시간·공간·생각·미래를 변화시켜라(다연, 2014)』

 

오상진 칼럼니스트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영감을 주는 크리에이터로서 20여년간 기업, 기관, 대학에서 창의력 및 아이디어 발상법, 혁신 등을 강의해오고 있다. 2014년까지 제일기획에서 HR 디렉터로서 창의적 인재들을 양성하는 일을 해왔고, 현재, 국내 유일의 경영전문대학원대학교인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에서 기업교육전공 PhD과정 주임교수 및 국내최초 HRD관련 전문강사를 양성하는 HRD Instructor MBA 과정 주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창의와 혁신, 아이디어 발상, Trend Sensing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와 연구를 진행 중이며, 최근 사용자 중심의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인 Design Thinking, Living Lab 관련 프로젝트 및 강의를 진행 중이다. 국내 유수의 기업과 기관들에서 글로벌 시대 직장인들에게 필요한 창의적 인사이트를 전달하고 있는 그는, 모호할 수 있는 아이디어 발상과 창의력 관점에 대한 이야기를 손에 잡히는 이야기로 위트 있게 풀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저서로는 『아웃 오브 박스』, 『나는 왜 괜찮은 아이디어가 없을까?』, 『生不出好創意 就賺不了錢!』 등이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